2022.09.24

양안시검사가 실무에서 진행되는 순서는 크게 3단계이다.

1. 양안시 검사 방법과 수순

2. 양안시 검사에 대한 분석 (원인 해결을 위한 방향설정)

3. 처방과 커뮤니케이션


그럼, 먼저 양안시 검사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양안시 검사는 두눈의 굴절이상을 정확히 교정된 상태에서 안위와 조절과의 관계를, 원거리와 근거리로 구분하여 검사하는것이다.

전공서적을 찾아보면 다양한 방법의 양안시 검사가 나온다.

여기에서 정확한 개념정리와 확신이 없으면 검사방법에서부터 혼동이 올수있다.

어떤 검사가 더 정확한지? 어떤 검사를 해야 쉬운지? 등등...

 또는 실무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의미없는(또는 중복되는) 이런저런 검사를 섞어서 사용할수도 있게된다.


양안시 검사의 기본원리는 눈상태를 일부 융상제거 상태를 만들어 놓고 하는것이다.

이는 완전 융상제거를 하면 양안시 검사 자체가 안되고, 완전한 융상상태에서는 융상의 정도를 파악하기 힘들기때문이다.

일부융상제거 상태를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1. 렌즈를 이용하는 방법(프리즘렌즈)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이유는 오랫동안 그리고 많은 연구를 통해 가장 오차가 작기 때문이다.

2.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적/녹필터, 편광필터)

 -  최근에는 적녹과 편광을 한꺼번에 사용하는 시표도 많아졌다.


다시말해 양안시 검사의 기본셋팅 (일부융상제거상태)은 위에 두가지 원리밖에 없다. 

이야기 하고 싶은것은 원리만 알면 똑같은 검사라는 것이다. 

본인이 익숙하고 잘 할수 있는 검사를 하면 된다는 이야기이다.

어떤 기계나 시표, 누군가가 주장하는 검사방법등 참고하는것은 좋치만, 굳이 똑같이 따라할 필요는 없는것이다.

정확성 또한 어떤 한가지의 검사가 모든부분에 있어 완벽할수는 없다.


소위말하는 안위와 여력검사 (#8~#18), 조절검사(#14,#19~#21)는 개념만 알면, 오랜동안 잃어버리지 않고 잘 할수 있게된다.

외우는 것보다는 그검사의 원리와 왜 하는지를 반복해서 생각하는것이 맞다는 이야기이다.


미국식 21가지 항목검사를 처음 보게되면 너무 복잡하고 헷갈리기만 하다.

검사명칭도 헷갈리고 순서도 복잡한것 같고......

21가지 검사는 크게 원거리검사와 근거리 검사로 나뉘어져있다.(#13번검사를 기준으로 #13번부터가 근거리 검사 그전은 원거리검사)

그리고 또 한가지는 굴절검사 - 안위검사 - 조절검사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같은 검사의 원거리, 근거리 반복과 안위검사는 프리즘렌즈를 이용해서 조절검사는 일반(+/-)렌즈를 이용해서 하는것이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반복된 검사 연습을 통해 검사방법과 수순이 자연스럽게 몸에 베어야 한다. 

마치 굴절검사처럼 외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진행되고, 매끄러운 기계 조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일단 안되는 안경사는 이것이 될때까지 매일매일 연습하기 바란다.

이것이 안되면 양안시 검사는 실무에서 절대 사용될수 없으며, 어설프게 알거나 어설프게 할줄알면 훗날 반드시 탈이 나게 된다.


양안시 검사방법은 거의 대부분의 양안시 전공서적에  나와있다.

이번기회에 한번 공부해볼까? 양안시를......




 

태그
등록된 태그가 없습니다.
관련글
등록된 관련글이 없습니다.